
초능력을 숨긴 채 현재를 살아가는 아이들과, 과거의 아픈 비밀을 숨긴 채 살아온 부모들이 시대와 세대를 넘어 닥치는 거대한 위험에 함께 맞서는 초능력 액션 히어로물소중한 것을 위해 언제나 목숨을 걸었다초능력을 숨긴 채 현재를 살아가는 아이들과, 과거의 아[보기]
초능력을 숨긴 채 현재를 살아가는 아이들과, 과거의 아픈 비밀을 숨긴 채 살아온 부모들이 시대와 세대를 넘어 닥치는 거대한 위험에 함께 맞서는 초능력 액션 히어로물소중한 것을 위해 언제나 목숨을 걸었다초능력을 숨긴 채 현재를 살아가는 아이들과, 과거의 아픈 비밀을 숨긴 채 살아온 부모들이 시대와 세대를 넘어 닥치는 거대한 위험에 함께 맞서는 초능력 액션 히어로물.원작자인 강풀이 대본 작업을 맡은 만큼 기존의 큰 줄거리는 유지하되, 기존 내용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새로운 인물이 추가되고 에피소드 일부가 변화하는 등 적지 않은 차이가 있다.극중 국정원 요원들에게 부여된 암호명은 원작에는 나오지 않는다. 정상진(진천), 전영석(봉평), 홍성화(나주) 등 드라마 오리지널 캐릭터뿐 아니라, 김두식(문산), 장주원(구룡포) 등에게도 암호명이 있다. 각자 캐릭터가 태어난 고향이다.원작의 이미현은 추어탕집(봉석이네 추어탕)을 운영했으나 드라마에서는 돈가스집(남산 돈까스)으로 바뀌었다.장주원이 국정원에 입직하게 된 이야기 전체가 바뀌었다. 아내와의 만남은 원작에 없었으며 입직하게 된 이야기도 전부 새로 만들어졌다. 원작에서의 아내 황지희는 장주원이 하숙하던 집주인 딸이었다.[18] 특별히 사귀게 된 계기는 나오지 않지만, 밤중에 골목에서 위험한 일 하고 다니지 말라고 잔소리하거나, 갑자기 밀린 하숙비를 내니까 또 위험한 일 했냐고 타박하는 등 어느 정도 관계가 진전된 이후의 모습으로 나온다.NTDP(국가인재육성프로그램)의 최초 입안자와 입안 시기가 달라졌다. 원작에서의 입안 시기는 2세대 초능력자들이 태어나기 전에 이미 만들어졌으나, 드라마에서는 2세대 초능력자들의 능력을 보고 프로그램을 시작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또한, NTDP 프로그램의 최초 입안자가 원작과 다른 사람이다. 이는 원작에서는 크게 중요한 내용이 아니지만, 속편에 해당하는 작품인 〈브릿지〉에서 상당히 비중이 높은 내용이다.류승범이 연기한 오리지널 캐릭터 프랭크는 본래 연재 준비 중이던 3부 '히든'에서 등장 예정이었던 캐릭터를 드라마에 미리 땡겨 출연시켰다고 한다.김영탁이 능력을 사용하는 장면이 나온다. 대신 얼굴은 안 나온다. 원작에서는 얼굴은 나오고 능력은 사용하지 않는다. 사실 능력을 사용할 필요가 있는 장면은 아니었다. 다만 김영탁이 등장함으로써 〈타이밍〉과 이번 작품이 같은 세계관을 공유하고 있음을 설명하고 있는 동시에, 차기작 〈브릿지〉에 대한 예고일 수도 있다.원작에서는 민용준이 살아남아 미연재된 3부 〈히든〉까지도 국정원 내 메인 빌런 역할을 하고 있지만 이번 작품에서는 김두식이 민용준을 죽이고 그 자리를 오리지널 캐릭터인 마상구가 이어받았다.원작 속편에 해당하는 〈브릿지〉의 내용을 최종화의 후일담 형식으로 어느 정도 다루고 있다. 대표적으로 김두식과 김봉석의 재회는 〈브릿지〉에서 이뤄진다.원작에서는 김두식이 자신의 다리를 잘라 탈출해 한 쪽 발을 잃은 상태로 나오지만, 드라마에서는 정준화가 직접 풀어줌으로써 다리를 잃지 않는다. 또한 북한에서 살아서 오자마자 민용준을 죽여버린다.원작에서는 초능력자들이 나이를 먹으면 능력이 감퇴된다는 묘사가 나오지만 드라마에선 특별히 언급되진 않는다.[닫기]